협력사 강연 - KRAFTON
목차
KRAFTON
내부 정보 궁금해 할만한 정보
크게 세개 파트
1. 비전 조직 문화 조직에 대한부분
2. 이상호님 크래프톤 개발자의 삶
3. QNA 세션
크래프톤은 게임회사
게임을 가장 강력한 미디어로 만든다. -도전 -기술 -엔터테인먼트
크래프톤이란 게임회사 - 비전 - 게임이 가장 강력한 미디어 가 될 것이다라는 믿음
게임의 영역이 허물어지고 있다.
게임만 제작하는 것이아닌 ip로 확장 -e스포츠
독창성
끊임없는 도전정신
기술력
위 세가지 정신을 가진 사람을 찾기위해 정글을 방문했다.
사업영역
게임 e스포츠 ip/엔터테인먼트 , 뉴 비즈(신사업)
딥러닝, ai 새로운 도전 많은 영역으로의 확대
어떤 조직이 있을까
크래프톤 HQ
와 스튜디오로 구분.
HQ는 각스튜디오가 게임 제작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게임을 퍼블리싱
PUBG bluehole등의
직무
일반적인 IT 기업의 직무와 크게 다르지 않다.
테크 데이터 it인프라 제작관리 경영지원 사업/서비스 QA UX/UI
게임 전문 직군
게임디자인 게임디자인 사운드 아트 TA
2000여명의 전세계 직원 17개 해외 법인
IT 기업이 사용하는 일반적인 프레임워크등을 활용하고 있다.
글로벌 퍼블리싱 등을 경험할 수 있다. 타 IT기업과 차별점.
AWS에서 하드웨어를 보강할 정도로 큰 규모의 글로벌 서비스를 만드는 회사
조직 문화
세가지
수평 자유로운 소통 활발한 교류
KLT = 매월 3주 월요일에 모임. 이 자리에서 회사의 방향성 등을 다 공유 내부적으로. 자유롭게 본인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기회도 있다.
복지 복리후생
아점저 전부 제공 무료!
근무환경 아주 좋음 호텔 급 구ㅡㄴ무 회사
보상이 업계 최고
크네카라쿠배 이다!
앞으로도 업계 최상위 수준을 유지할 것이다.
크래프톤의 채용 프로세스
서류 검토
전화 인터뷰
직무 테스트
실무 면접
최종면접
인산
온라인 코딩 테스트.
손 코딩 테스트.
스텟보다는 직무역량 그자체를 훨씬 많이 본다.! 직무 역량?!?!
2. 펍지 devops 팀장 이상헌님
devbv@pubg.com
게임회사는 어떄요? 달라요/
어떄요 관점
사업적 - 다름
문화적 - 컨텐츠 사업이라 다른 부분
기술적 - 다른 점?
비교 대상
일반적인 기업
다른 IT 기업 -네카라쿠배와 다른점?
전산학과
블루홀 입사
와우는 얼마나 오래 하셨죠?
카카오 이직
거기는 많이 다르겠죠? 행복하세요
게임 회사에선 어떨지 모르겠는데
카카오 -> 펍지
게임 회사는 어때요? 많이 다른가요?
펍지->크래프톤
데브옵스는 어떄요?
어떄요? 달라요? 똑같아요!
개발자는 프로그래밍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일을 하는 사람
어떻게 일했느냐가 중요하다!
지금 내가 흥미 있는 문제를 다루는 곳에서 일하면 된다.
그래도 기술이 중요하지 않나요?
과거엔 도메인 마다 관심사가 달라 기술이 조금씩 달랐음.
웹기반 기술들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유연함
사업 유저 개발
세상이 더욱 연결되면서 도메인에 관계 없이 유연함이 필수
결국 도메인 특화 기술은 최소화되고 웹기반 기술을 활용하는 추세.
어떤 개발을 할까?
언리얼 c++ => 게임 (도메인 특화 기술)
펍지 로비. 사실은 웹페이지 angular typescript
프론트엔드 UI/UX를 구현하는 일
UI를 만드는 기술이 가장 고도화된 곳 = web 프론트 엔드!
수정 및 배포가 매우 용이하다.
보통의 웹사이트에선 경험하기 힘든 복잡도의 프론트엔드 개발을 경험할 수 있다.!
타사 사례
디스코드 리그오브 레전드 슬랙
롤 로비와 펍지 로비의 차이점
롤은 거의 순수 웹브라우저에 가깝다.
펍지 로비 백엔드
유저 100명이 한곳에 모여 즐겁게 게임을 할 수 있게 매칭 시켜주기
게임에 영속적인 컨텐츠를 제공
외부세상과 PUBG 연결하기
1 UBD 170,000
1PUBG?
1게임 서버 100 client
10 PUBG 운영
PUBG 플랫폼 백엔드 특징
4~50여개의 마이크로서비스 기반으로 운영
주니어도 새로운 서버를 짜서 올려볼 기회!
쉽게 경험하기 힘든 대규모 트래픽
하나의 빌드로 글로벌 서비스를 하는 경험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고 적ㅇ요하는데 거리낌이 없ㅈ다.
어떤 개밞 문화를 가지고 있을까?
코드 리뷰
코드 퀄리티를 높인다.
컨텍스트 / 지식 공유
개인에게 책임을 넘기지 않는다.
버그 수정 비용 > 코드 리뷰 비용
경험상 코드리뷰가 더 싸다.
페어 프로그래밍
혼자할걸 둘이서. 코드리뷰보다 더 빡센 방식의 개발.
스터디 & 세미나
중요하다.
열심히 공부하려고 하지만 혼자하면 잘안되기에 조직 차원에서 지원.
1 on 1 미팅 조직장과 조직원이 미팅
평소에 잘 말 못했던 불만 고민등을 이야기하게 된다.
회고 문화
연 / 분기 / 격주 / 일
무엇을 잘했는지? 못했는지?
더 잘하기 위해서 필요한 액션 아이템 만들기
액션 아이템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개발자를 뽑을 때 뭘 볼까?
CS 기반 지식
취업 팁 : 교과서 위주로 열심히
CS는 기초체력
데이터 구조, 운영체제, 알고리즘
현업에서 안쓴다는데?
우리는 남들이 풀어보지 않은 문제를 풀어야한다.
computer science is no more about computes than astronomy is about telespoes. Science is not about tool.
문제 해결 능력
현업에선 속도보다 끈기가 더 중요할 때가 많다.
문제해결능력을 어떻게 검증하나요?
간단한 알고리즘 테스트
정답이 없는 문제
과거의 경험. - 문제를 해결해나갔던 경험.
시간이 주어진다면 이사람이 충분히 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는지를 본다.
기술/ abstraction을 받아들이는 태도
이게 뭘까?
이걸 어디에 쓸까?
이게 왜 좋을까?
이걸 어떻게 구현했을까?
(네번째는 지금단계에선 독이 된다.)
개발 커리어를 쌓아 나가는데도 아주 중요한 영역
성장에 대한 의지
정체기가 있기에 성장에 대한 의지가 있어야만 한다.
마무리!
내가 회사를 고르는 기준
하고자하는 일이 흥미로운지
내가 성장할 수 있을지
성장을 도와줄 동료들이 많거나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도전적인 환경이거나
상식적인 조직문화를 갖추고 있는지
보상은 적당한지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
주니어 개발자에게 많이 하는 조언
T 자형 인재에서 TTTTTTTTTTTTT자형 인재로 발전해야한다.
우선은 하나의 기술을 깊게 파보는 경험이 큰도움이 된다.
기술은 변한다. 하나를 잘안다고 만족해서는 안된다.
시니어가 뭔가를 가르쳐주진 않는다. 다만 ㅁ배울 점이 있을 뿐이다.
물론 교육/성장에 대한 고민도 하지만, 회사는 학교가 아니다.
실력이 늘지 않는 것 같다고 조급해하지 말자.
어느 날 돌이켜보면 늘어있다.
진짜 마무리
요즘 자누 든는 말
나도 전산 전공할걸
나도 개발자 할걸
지금도 늦지 않았다
가진 것을 내려 놓을 수 있다면
이미 여러분들은 남들은 쉽게 못하는 선택을 한것
모두 화이팅!
QNA
정글1기 수료 크래프톤 고태양
기술스택
프로트엔드 angular - typescript
AWS
독창성?
남들을 따라하는게 아니라 내 방식대로 내가 원하는대로 내가 하고 싶은데로 하는. 주관!
주관으로 내 분야에 노력했던
e 스포츠
ip 확장 - 눈마새 - ip 대기중
한명의 게이머로서 눈마새 ip mmo rpg
경험 - pintOS